티스토리 뷰
목차
공매도 막는 법! 대차 서비스 차단 설정 방법 한눈에 정리
2025년 3월 31일 공매도가 전면 재개되면서, 내가 가진 주식이 공매도에 쓰이는 것 아닌가? 걱정하시는 분들 많으시죠?
특히 기관이나 외국인이 내 주식을 빌려서 공매도한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불쾌하거나 불안한 감정을 느끼는 분들도 있습니다.
그렇다면 방법은 하나! 대차 서비스에 비동의 설정을 하면 됩니다.
오늘은 각 증권사 HTS/MTS에서 공매도 대차를 막는 설정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✅ 대차 서비스란?
먼저 용어부터 정리해볼게요.
대차 서비스란, 내가 보유한 주식을 증권사가 기관/외국인에게 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.
즉, 내가 아무런 매도도 하지 않았는데, 내 주식이 공매도에 쓰일 수 있는 구조인 거죠.
📉 특히 하락장에서 내 주식이 공매도로 인해 더 빠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,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이 서비스에 비동의하고 싶어합니다.
🧭 대차 서비스 막는 방법 요약
대차 서비스를 차단하려면 증권사 HTS(홈트레이딩시스템) 또는 MTS(모바일트레이딩앱)에서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.
일반적인 경로
- HTS/MTS 로그인
- [계좌관리] 또는 [고객센터/서비스 신청] 메뉴 진입
- [주식대여서비스], [대차서비스 동의/해지], [대여가능계좌 조회/철회] 등 선택
- 서비스 철회 또는 비동의 설정
- 확인 후 저장
※ 증권사마다 명칭이나 위치가 조금씩 다르지만, 대부분 이 흐름을 따릅니다.
⚠️ 꼭 알아둘 점
- 대차 서비스에 비동의(철회)하면,
앞으로는 내 주식이 더 이상 공매도에 쓰이지 않게 됩니다. - 이미 대여된 주식이 있다면, 철회 후에도 최대 수일 간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세요.
- 이 설정은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므로, 필요 시 재신청도 가능해요.
- 철회 시 별도의 수수료나 불이익은 없습니다.
✋ 왜 대차 서비스를 차단하는 걸까?
✔️ 내 주식이 공매도에 사용되는 것을 막고 싶어서
✔️ 개인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자산 통제권 유지
✔️ 공매도 잔고가 많은 종목 보유 시 주가 하락 리스크에 대한 대응
📌 마무리 요약
항목 | 내용 |
설정 대상 | HTS/MTS에서 직접 설정 가능 |
설정 위치 | 계좌관리 or 고객센터 > 대차/주식대여 메뉴 |
효과 | 내 주식이 공매도에 대여되지 않음 |
주의사항 | 이미 대여된 물량은 철회해도 바로 회수 안 될 수 있음 |
공매도를 직접 하지 않더라도,
내 주식이 공매도에 쓰이는 걸 막는 것 역시 중요한 투자자의 권리입니다.
이제부터는 대차 서비스 설정 상태도 꼭 한 번 확인해보세요!
HTS/MTS 앱으로 5분이면 충분히 설정할 수 있답니다.
개인 투자자 공매도 방법 사전교육 총정리
개인 투자자 공매도 방법 총정리! 대주거래·사전교육·업틱룰까지 (ft. 대체거래소 NXT) 공매도, 이름은 익숙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하는지 막막하셨나요?2025년 3월 31일, 공매도 시장이 재개되면
money.j-nest.com